[AWS] EC2를 이용한 서버 구축 6 (RDS mariaDB)

AWS에 DB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두가지가 있다

1. EC2 인스턴스 내부에 설정

2. RDS로 인스턴스를 만들어서 붙이는 방법

 

저희는 2번째 AWS에 RDS을 사용하여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를 만들어봅시다!!!

 

서비스 -> 데이터베이스 -> RDS 클릭

데이터베이스 생성 클릭

MariaDB 인스턴스 생성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식 선택에는 표준 생성을 체크해주시고

 

엔진 옵션은 MariDB로 진행해봅시다~!

 

엔진 버전은 MariaDB 10.6.14 를 사용하겠습니다.

 

템플릿은 무.조.건 프리 티어

인스턴스 설정

  • DB 인스턴스 식별자: 자기 자신이 알아볼 수 있는 DB인스턴스 이름으로 설정
  • 마스터 사용자 이름/암호: DB에 접속할 때 필요하니 까먹지 않게 유의합시당!

마스터 사용자 이름은 admin에서 root로 변경하였습니다. MYSQL의 마스터 사용자는 root이기 때문에

DB 인스턴스 구성 설정

기존에는 t2.micro만 가능하였지만 현재느 t3.micro, t4.micro도 프리티어에 포함되어 사용가능하다.

 

https://aws.amazon.com/ko/free/?all-free-tier.sort-by=item.additionalFields.SortRank&all-free-tier.sort-order=asc&awsf.Free%20Tier%20Types=*all&awsf.Free%20Tier%20Categories=categories%23databases

 

무료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 AWS 프리 티어

이러한 프리 티어 혜택은 AWS 신규 고객에게만 제공되며 AWS 가입일로부터 12개월 동안 유효합니다. 12개월의 무료 사용 기간이 만료되거나 애플리케이션 사용량이 프리 티어 범위를 초과할 경우

aws.amazon.com

※ 과금하기 싫으면 정!독! 합시다.

프리티어에서 20GB까지 무료로 제공해주기 때문에 할당된 스토리지는 20GB로 설정! 

 

스토리지 자동 조정 활성화를 체크해제 합시다. -> 과금요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EC2 컴퓨팅 리소스에 연결 안함 체크 해주시고

 

DB 외부 접속을 위해 퍼블릭 액세스는 예로 설정해줍시다.

 

 

1. 백업 보존 기간 0일 설정

2. 스냅샷으로 태그 복사 체크 해제

3. 자동 백업을 활성화합니다. 체크 해제

 

사실상 3번만 해도 무방한데 과금요인을 차단하기 위해 이중으로 해제!!!

자 이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였으면 상태가 생성중 -> 사용 가능으로 변경될 때까지 기다려준다

파라미터 그룹 생성/설정

RDS를 생성한 후 아래의 설정을 필수적으로 해줘야 한다

  • time_zone : 시간 설정
  • character Set : 문자 인코딩 설정
  • collation : 데이터의 정렬기준을 위한 설정

파리미터 그룹  ->  파라미터 그룹 생성

 

파라미터 그룹이름, 설명은 식별가능한 이름으로 설정하면 됩니다.

 

엔진 유형은 MariaDB

 

파라미터 그룹 패밀리는 생성한 RDS의 DB버전을 선택하면 됩니다.

※ 아까 10.6.14버전을 선택하였으니까 저는 mariadb10.6를 선택하였습니다.

 

생성완료 후 해당 파라미터 그룹을 클릭하여 상세 페이지로 이동 후 편집 클릭 -> 편진모드로 전환

Time Zone 설정

- time_zone 입력하여 값에 Asia/Seoul을 입력해준다.

아래의 항목들을 검색해 utf8mb4, utf8mb4_general_ci로 변경해준다.

utf8mb4
• character_set_client
• character_set_connection
• character_set_database
• character_set_filesystem
• character_set_results
• character_set_server

utf8mb4_general_ci
• collation_connection
• collation_server

 

빨갛게 표시한 파라미터는 MariaDB에서만 RDS 파라미터 그룹으로는 변경이 안된다고 한다. 그래서 HeidiSQL에서 접속한 후, 직접 다음 쿼리를 수행해주었다.

// 데이터베이스의 문자 집합을 UTF-8로 변경
alter database DB이름 character set utf8 collate utf8_general_ci;​
// 테이블의 문자 집합을 UTF-8로 변경
alter table 테이블이름 character set utf8 collate utf8_general_ci;​



파라미터 적용

- 생성한 데이터베이스클릭하고 수정버튼을 클릭한다.

 

추가 구성을 열어서 데이터베이스 옵션의 DB 파라미터 그룹을 방금 생성한 파라미터 그룹으로 변경하고, 가장 하단의 계속을 클릭한다. 즉시 적용을 클릭하고, DB 인스턴스 수정을 클릭한다.

 

 

 

 

 

 


sudo yum install -y mariadb

# 클라이언트가 잘 설치되었는지 확인 mysql --version # 접속 커맨드 mysql -u {유저명} -p -h {DB의 엔드포인트}